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100mb
- 웹개발
- ec2
- memory
- git commit
- NGINX
- CI/CD
- vue
- Git
- Vue.js
- Pipeline
- 깃
- ELB
- vue #vue.js #vue컴포넌트
- webpack
- vue template
- 리다이렉션
- docker
- v-show
- cicd
- 용량
- jenkins
- IDE
- vue-template-compiler
- javascript
- Styled Components
- React-Natvie
- typescript
- webstorm
- v-if
- Today
- 64
- Total
- 457,885
목록git (협업 툴) 사용법 정리 (10)
번데기 개발자의 메모장

.gitignore 란? git을 사용하면서 우리는 용량이 큰 파일이나 업로드해서는 안 되는 key파일 등등을 무시하고 소스코드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선언할 수 있습니다. 이는 .gitignore 라는 파일을 이용하면 되는데요, 단순하게 .gitignore 라는 파일을 작성하고 일련의 규칙에 따라 제외할 파일들의 목록들을 .gitignore 파일에 작성해주면 됩니다.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 위 사이트를 통해서 원하는 개발 플랫폼에 따라 .gitignore파일을 쉽게 만들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gitignore 문법 .gitignore 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문법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

Github의 인증 정책 변경 github는 2021년 08월 13일부터 인증정책을 변경하여 개인 Github ID, Password를 통해 원격 저장소의 push와 같은 명령을 막고, 개인 Access Token을 발급받거나, SSH를 통한 원격 저장소 변경만 허용하도록 정책을 바꾸었습니다. 실제로 ID / Password를 통해 서버 push를 테스트해보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오늘은 ssh와 Personal Access Token을 이용한 github 인증 환경 구성 방식 중에 Personal Access Token을 발급받는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Github로 개인 Access Token 발급받기 일단 Github에서 Access Token을 받기 위해서 github 페이지로 이동하여..

git에서 stash는 정말 좋은 옵션입니다. stash를 통해 우리는 기존 로컬 변경사항을 잠시 저장해 두고 서버에서 최신 commit을 pull을 받거나 다른 브랜치로 이동하기 전에 local상태를 깔끔하게 정리 한 뒤에 브랜드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stash에 관련된 포스팅을 하였는데요, stash 사용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면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git - stash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 알아볼 내용은 기존의 Stash의 이름을 바꾸는 방법입니다. Stash로 이름 주기 기본적으로 Stash를 사용하면 아래 처럼 현재 브랜치의 이름과 마지막 커밋 이름으로 Stash 이름을 지정하게 됩니다. 이름을 지정하고 싶을때 보통 Save명령어를 통해 원하는 ..

github에 100MB 이상 파일 업로드 github에 push를 할 때, 50MB 이상의 파일이 포함되면 경고 메시지를 띄우고, 100MB 이상의 파일이 포함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동영상 파일이나, 3D모델, psd파일 등을 git으로 올려야 할 때, 위와 같은 제약 때문에 무척 불편할 때가 많습니다. (gitlab은 파일별로 용량제한은 없는 것 같고 프로젝트 단위의 용량 제한을 하는 것 같아서 편하던데..) github에서는 100MB이상을 올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LFS (Large File System) git에서는 LFS(Large File System)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LFS는 github에서 크기가 큰 파일을 다루기 위해서 ..

GIT을 사용하다 보면 커밋을 메시지에 오타가 들어가거나 커밋 메시지를 바꾸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저는 예전에는 git reset HEAD^ 를 사용해서 Commit을 취소하고 메시지 수정 후에 다시 Commit을 했는데 찾아보니 더 간단한 방법이 있는 것 같아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커밋 메시지를 잘못 입력했을 때 보통 어떤 식으로 수정해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마지막 Commit 메시지 수정하기 마지막 커밋 메세지를 수정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git에서 제공하는 --ammend 옵션을 통해 간단하게 Commit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git commit --amend -m "바꿀 메시지" 아래는 실제로 실습해본 내용입니다. 또는 git c..

보통 GIT을 이용하여 개발을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습관적으로 commit이나 ADD를 하고 아차, 할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능을 만들고 테스트를 제대로 안해보고 commit을 했는데 실제로 돌려보니 기능에 문제가 있거나, 오탈자가 났거나 할때입니다. 제가 처음에 GIT을 사용했을때 이러한 경우 참 난감했는데, 결국에는 다 방법이 있더라구요. GIT에서 마지막 COMMIT을 취소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GIT ADD 취소하기 $ git reset HEAD // 해당 파일만 add 취소 $ git reset HEAD // 모든 파일 add 취소 보통 ADD는 Commit하기전 파일에 대한 변경사항을 Staging area로 추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즉 변경된 파일들중에 COMM..
oh-my-zsh 많이쓰는 git 단축키 gst git status 현재 local repository 의 상태를 보여준다 gco git checkout 브랜치를 바꾸는 명령을 수행한다. ggl git pull origin $(current_branch) remote에서 현재 브랜치로 pull 명령을 수행한다. ggp git push origin $(current_branch) 현재 브랜치에서 remote 로 push한다. glg git log --stat --max-count = 10 -- stat : 각 커밋의 통계정보를 보여준다. git log + 상태정보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glgg git log --graph --max-count = 10 --graph : 각 브랜치와 머지 히스토리 정보를 ..
git에서 git stash pop시에 발생하는 merge에러 해결 git에서 git stash pop 명령어 사용시에 merge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 메뉴얼대로 충돌되는 부분을 수정한뒤에 commit 해도 됩니다. 그러나 해당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는 reset 명령어를 통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위의 명령을 쓰게되면 staged files들을 다시 unstaged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깔끔하게 merge complict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참조하시면 이해가 편할겁니다. Index는 다음에 커밋할 스냅샷을 저장하는 용도이며, HEAD는 마지막에 커밋한 스냅샷을 의미합니다. https://www.stefaanlippens.net/resolve-git-unmerged..
Git 명령어 Fetch -> 리모트 저장소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로컬로 가져옴. Git branch [브랜치명] => 새로운 브랜치 생성 Git checkout [브랜치명] => 브랜치 checkout(다른 브랜치로 이동) Git commit => ———> 한줄로 git checkout -b newData Git local branch 생성 , branch 이동 생성 : git branch [브랜치명] 생성 후 이동 : git checkout -b feature-01 Git remote branch 생성 git push origin feature-01 branch local remote 연동 git branch --set-upstream-to origin/feature-01 Git branch 삭제하기..
git Stash란? 다른 브랜치로 checkout을 해야 하는데 아직 현재 브랜치에서 작업이 끝나지 않은 경우 커밋이 애매해 지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stash를 이용하면 작업중이던 파일을 임시로 저장해두고 현재 브랜치의 상태를 마지막 커밋의 상태로 초기화 할 수 있습니다. 그 이후 다른 브랜치로 이동한 뒤 작업을 끝낸 후에 작업중이던 브랜치로 복귀한 뒤 이전에 작업하던 내용을 복원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Stash라고 합니다. 해당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it Stash의 기능 stash : 감추다 숨겨두다branch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보면, branch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branch로 checkout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이럴 때 아직 작업중인 파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