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vue-template-compiler
- webpack
- memory
- cicd
- 깃
- docker
- Styled Components
- javascript
- NGINX
- ec2
- IDE
- Git
- vue #vue.js #vue컴포넌트
- 용량
- 웹개발
- Pipeline
- vue template
- 리다이렉션
- jenkins
- v-if
- webstorm
- React-Natvie
- CI/CD
- v-show
- ELB
- 100mb
- vue
- typescript
- Vue.js
- git commit
- Today
- 64
- Total
- 457,885
목록서버 개발 (AWS, DOCKER 등)/아마존 (AWS) (7)
번데기 개발자의 메모장

보통 도메인을 구매하게 되면 호스팅 사이트에서 도메인을 구매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Route53의 네임서버를 호스팅 사이트에 네임서버로 교체를 해줘야 해당 도메인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AWS 계정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어떻게 2개의 계정을 Route53과 연결시킬지 고민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계정 하나에 대해 Route53의 네임서버를 등록하게 되면, 다른 계정에서는 해당 도메인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여러 AWS 계정에서 Route53 등록하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WS 계정에 도메인을 등록합니다. 이를 AWS 메인 계정이라고 하겠습니다. (ex: example.com) 나머지 AWS 계정..

CloudFront에 대해 알아보다가 비용에 관련해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EC2로 발생하는 Traffic 요금과 S3로 발생하는 Traffic 요금, 그리고 CloudFront로 발생하는 Traffic요금 중 어떤 방식이 가장 저렴한지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EC2란?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입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서 아마존이 각 세계에 구축한 데이터 센터의 서버용 컴퓨터들의 자원을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아마존으로 부터 한 대의 컴퓨터를 임대하는 것입니다. 용량을 늘이거나 줄이기에 쉽고, 사용한 만큼만 지불합니다.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 스토리지 관리가 효과적입니다. S3란? Amazon S3는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

Route53을 쓰던 중에 A레코드와 CName을 사용해서 도메인과 ELB와 CloudFront와 같은 서비스를 연결할 때가 있었습니다. 이럴 때 그냥 무심코 구글링을 해서 도메인을 A레코드와 Cname으로 연동하여 쓰고 있었는데 정확하게 둘이 어떻게 다른지 잘 모르고 쓰고 있었던 것 같아서 간단하게 한번 정리해두어야겠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A 레코드란? 도메인 주소와 서버의 IP 주소를 직접 매핑 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단순하게 도메인과 IP를 연결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이해됩니다. 즉 3.155.24.33 이라는 IP가 있는데 해당 IP를 json-test.com과 같은 도메인으로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방식이 A 레코드입니다. Cname Cname은 Canonical..

예약 인스턴스(RI)와 Auto-Scaling이란? AWS를 사용할 때 오래 사용할 인스턴스는 예약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이용합니다. 예약 인스턴스는 약정 기간을 정해놓고 미리 지불하여 사용하는 인스턴스를 말합니다. (꼭 미리 결제할 필요는 없지만 선결제가 할인율이 가장 큽니다.) 예약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s://wooono.tistory.com/121 Auto-Scaling 이란 트래픽에 따라 서버의 수를 늘리고 줄이는 자동 조정을 하는 AWS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인스턴스의 CPU 사용률이 5분 동안 80% 이상을 넘어서면 Auto Scaling 그룹에서는 똑같은 인스턴스를 하다 더 생성합니다. 이후 하나 더 생성된 인스턴스를 통해 분산처리가 되..

Route 53 사용 시 요금 발생 문제 AWS에서 Free Tier 요금을 사용하던 중에 Route53을 사용할 일이 생겼습니다. 분명히 Free Tier로 사용하고 있는데 Route53에서 비용이 청구되는 것을 확인하여서, Route53 요금에 대해서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요금 발생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Route53 요금 발생 상황 요금이 발생한 상황을 분석해보니 제가 구매한 도메인을 Route 53에 연결했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Route53에 도메인 연결만 해두어도 돈이 나가는 것은 몰라서 이번에 알게 된 것 같습니다. Route53 과금 방식 좀 더 살펴보니 Route 53은 호스팅 영역을 등록 할때마다 과금을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여기서 호스팅영역이란 쉽게 말해서 ..

redirection 문제 회사에서 데모를 위한 웹서버를 띄우기 위해 AWS 인프라를 구축할 일이 생겼습니다. 기본적으로 AWS의 ELB와 EC2 그리고 Nginx만을 이용한 간단한 웹 서버를 구축하였는데, 이때 HTTPS 인증서를 로드벨런서(ELB)에 붙이고, 타겟그룹을 만들어서 EC2 Nginx로 전달하였습니다. 이때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https://example.com/ => HTTPS로 동작 http://example.com/ => HTTP로 동작 https://example.com/folder => HTTP로 동작 (http://example.com/folder/ 으로 이동) 저는 HTTP로 접속이 되더라도 HTTPS로 동작하는 웹서버를 구축해야 했습니다. 저희 회사 SDK를 ..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백업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해보았습니다. EC2 인스턴스를 실무에서는 따로 백업할 일은 지금까지는 없었지만 혹시 나중을 위해서 알아놓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AWS EC2의 백업 EC2의 인스턴스는 사용하지 않더라고 계속 켜놓으면 요금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때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는 중지하고 제거하면 되는데요, 하지만 언제 다시 사용할지 모르거나, 데이터가 많이 쌓여있는 DB인스턴스의 경우에는 백업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EC2는 대부분 root볼륨을 가지고 있고 추가로 EBS볼륨을 인스턴스에 붙이는 구조인데 create image를 통해 AMI를 생성하고 각각의 EBS볼륨에 대해서도 스냅샷을 떠야 합니다. AMI, EBS AMI란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