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100mb
- v-if
- Git
- ec2
- webstorm
- Styled Components
- git commit
- vue template
- IDE
- webpack
- memory
- vue
- 리다이렉션
- 웹개발
- vue-template-compiler
- Vue.js
- typescript
- 깃
- vue #vue.js #vue컴포넌트
- 용량
- javascript
- cicd
- Pipeline
- docker
- jenkins
- React-Natvie
- ELB
- CI/CD
- NGINX
- v-show
- Today
- 647
- Total
- 487,879
목록2022/11 (1)
번데기 개발자의 메모장

서론 보통 React 앱을 빌드 후 배포할 때 S3 + Cloud front를 통해 배포를 하곤 했는데요, 이렇게 하다 보니 항상 빌드 후에 Drag-Drop으로 S3 버킷에 업로드한 뒤 Cloud Front 캐시 동기화를 눌러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Jenkins를 이용하여 이를 자동화하는 방법이 있어서 회사에서는 Jenkins를 적용하여 자동화를 구축하였는데요, 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Jenkins pipeline을 이용한 S3 및 CloudFront 자동화 순서 Jenkins 파이프라인 자동화를 로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ithub 및 AWS 관련 Credential 을 등록한다. (+AWS Credential Plugin 설치) 2. Jenkins 파이프라인을 만..
서버 개발 (AWS, DOCKER 등)/CICD 및 Jenkins
2022. 11. 28. 0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