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도메인을 구매하게 되면 호스팅 사이트에서 도메인을 구매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Route53의 네임서버를 호스팅 사이트에 네임서버로 교체를 해줘야 해당 도메인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AWS 계정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어떻게 2개의 계정을 Route53과 연결시킬지 고민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계정 하나에 대해 Route53의 네임서버를 등록하게 되면, 다른 계정에서는 해당 도메인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여러 AWS 계정에서 Route53 등록하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AWS 계정에 도메인을 등록합니다. 이를 AWS 메인 계정이라고 하겠습니다.
(ex: example.com) - 나머지 AWS 계정(서브 계정)에는 하위 도메인을 생성합니다. 이를 AWS 서브 계정이라고 하겠습니다.
(ex: dev.example.com) - 서브 계정에서 등록한 하위 도메인의 NS 레코드 값을 복사합니다.
- 메인 계정에서 하위 도메인을 만들고 레코드 유형을 NS 레코드로 지정합니다.
값으로 서브계정에서 복사한 NS 레코드를 붙여 넣습니다.
위와 같이 구성하면 이제 서브 계정에서 dev.example.com 하위 도메인을 이용하여 AWS의 여러 다른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실제로 한번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해보기
1) 메인 계정에 example.com 도메인 만들기
=> 위 부분은 기본적인 Route53 등록에 대한 내용이므로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2) 서브 계정의 도메인 만들기
3) 서브계정에서 NS 레코드 복사하기
4) 메인 계정에서 하위 도메인 만들고 복사한 NS 레코드를 네임서버 주소로 붙여 넣기
마무리
지금까지 Route53의 도메인을 여러 AWS 계정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AWS 계정의 도메인에 대한 서브 도메인을 다른 AWS 계정에서 사용할 일이 있어서 알아보다가 문제를 해결하고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앞으로도 AWS 개발에 관련해서 문제점을 해결할 때마다 블로그에 꾸준히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서버 인프라, 백엔드 > 아마존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정적 사이트 배포 하는 4가지 방법 (feat: cloudfront / nginx /amplify / netlify) (1) | 2023.04.25 |
---|---|
AWS : EBS란? EBS 요금 분석 (0) | 2023.03.03 |
AWS : EC2 / S3 / CloudFront 트래픽 요금 분석 (2) | 2021.12.13 |
AWS : A 레코드와 Cname의 차이 (0) | 2021.12.08 |
AWS : Auto-Scaling과 예약 인스턴스(RI) 사용시 비용 산정 (동시 사용) (2) | 2021.07.01 |